-
챗GPT & AI도구 #32. 노코드 툴 완벽 비교: Bubble vs Glide, 내 아이디어에 맞는 개발 도구 선택 가이드챗GPT & AI 도구 2025. 10. 21. 21:52반응형

안녕하세요! '챗GPT & AI 도구' 시리즈의 서른두 번째 이야기로 돌아왔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코딩 없이도 앱을 만들 수 있는 '노코드(No-Code)' 혁명과 챗GPT를 활용한 기획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여러분의 머릿속에는 '낭비 없는 식단 추천 앱', '지역 맛집 공유 커뮤니티' 등 멋진 아이디어가 구체화되었을 겁니다. 하지만 이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 어떤 노코드 툴을 사용해야 할까요?
노코드 툴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각 툴마다 **'강점'과 '약점'**이 명확합니다. 마치 망치, 톱, 드라이버가 쓰임새가 다르듯, 개발하려는 앱의 성격(복잡성, 디자인, 데이터 구조)에 따라 적합한 툴을 선택해야 시행착오를 줄이고 빠르게 성공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노코드 시장을 선도하는 두 가지 핵심 툴인 **'Bubble(버블)'**과 **'Glide(글라이드)'**를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여러분의 아이디어에 가장 적합한 툴을 선택하는 명쾌한 가이드를 제시해 드릴게요.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여러분은 코딩 없는 개발의 첫 삽을 어디에 꽂아야 할지 명확하게 알게 될 것입니다.
1. 노코드 툴, 왜 선택이 중요한가?
노코드 툴은 한 번 선택하면 나중에 다른 툴로 옮기기가 쉽지 않습니다. 툴마다 데이터베이스(DB) 구조, 디자인 방식, 기능 구현 방식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처음부터 앱의 목적에 맞는 툴을 선택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합니다.
앱 성격별 노코드 툴 선택 기준:
기준 Bubble (버블) Glide (글라이드) 복잡성 복잡한 로직, 데이터 연결, 사용자 간 거래(마켓플레이스) 필요 단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CRM), 리스트형 앱 디자인 디자인 자유도가 매우 높음 (거의 코딩 수준) 정해진 템플릿과 스타일 내에서 심플하게 구현 개발 속도 높은 자유도로 인해 학습 시간이 필요하지만, 완성도는 높음 매우 빠름! 구글 시트만 있으면 몇 시간 내 앱 완성 주요 활용 분야 에어비앤비, 우버, 복잡한 SaaS 서비스 사내 직원 관리, 이벤트 등록, 지역 정보 공유 앱 2. 심층 비교 분석: Bubble vs Glide
두 툴은 노코드 시장의 양대 산맥이지만, 지향하는 바가 완전히 다릅니다.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아래 표에 대입해 보세요.
구분 Bubble (버블) Glide (글라이드) 데이터베이스 자체 DB 사용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 Google Sheets, Airtable 등 외부 DB 연동 (핵심 강점) 학습 난이도 ★★★★☆ (배울 게 많지만, 배워두면 확장성 무한대) ★★☆☆☆ (매우 쉬움, 엑셀/시트 사용 경험만 있으면 OK) 디자인 자유도 ★★★★★ (UI/UX 디자이너 수준의 정교한 디자인 가능) ★★★☆☆ (모바일 최적화된 심플하고 깔끔한 디자인만 가능) 확장성/기능 매우 높음. 플러그인 연결, API 연동 등 기능 구현 한계가 적음 제한적. 간단한 기능만 가능하며, 복잡한 로직은 구현 어려움 주요 비용 특징 무료 플랜 제공(일부 제약). 유료 플랜 시 월 수십~수백 달러 사용자 수 기반 과금. 소규모 유저에게 유리 [Bubble]을 선택해야 하는 아이디어 (복잡성, 기능 우선)- 마켓플레이스 앱: 판매자와 구매자가 만나 결제와 거래가 일어나는 앱 (예: 중고 거래 플랫폼, 숙박 예약 서비스)
- 복잡한 SaaS: 데이터 분석, 실시간 알림,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이 필요한 웹 서비스
- 고유한 UI/UX가 중요한 앱: 디자인 차별화가 곧 경쟁력인 서비스
[Glide]를 선택해야 하는 아이디어 (단순성, 속도 우선)
- 사내 정보 공유 앱: 직원 연락처, 재고 목록, 교육 자료 등 단순 정보 공유 앱
- 개인 맞춤형 기록 앱: 식단 기록, 운동 관리, 독서 리스트 등 개인 관리 앱
- 이벤트 등록/커뮤니티 앱: 간단한 사진 게시, 댓글, 공지사항 기능이 필요한 앱
3. 챗GPT로 나에게 맞는 툴 찾기 (프롬프트 실전)
선택이 어렵다면, 챗GPT에게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설명하고 컨설팅을 요청하세요.
핵심 프롬프트:
'나는 '지역 주민들을 위한 중고 물품 거래 앱'을 만들고 싶습니다. 이 앱에는 실시간 채팅, 결제 기능, 지역 인증, 판매자 평점 기능이 반드시 들어가야 합니다. 챗GPT는 이 아이디어에 가장 적합한 노코드 툴 2가지를 추천해 주고, 왜 그 툴이 적합한지 '기능 구현의 용이성' 관점에서 설명해 주세요.'
- 챗GPT의 답변 예시: "귀하의 아이디어는 **복잡한 로직(결제, 채팅, 지역 인증)**이 필요하므로, Bubble이 Glide보다 훨씬 적합합니다. Bubble은 자체 데이터베이스와 플러그인을 통해 복잡한 결제 API 연동이 용이하며, Glide로는 구현하기 매우 까다롭거나 불가능합니다."
4. 툴 선택 후속 가이드: 실패하지 않는 3가지 원칙
- MVP(최소 기능 제품) 정의: 툴을 선택했다면, 가장 핵심적인 기능(MVP)만 먼저 정의하고, 나머지 기능은 과감히 버리세요. 완벽한 앱을 만들려다 지쳐 포기하는 것이 노코드 개발의 가장 흔한 실패 요인입니다.
- 데이터 구조 설계(DB): 코딩은 없지만,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챗GPT에게 앱의 기능에 맞는 DB 테이블과 필드를 설계해 달라고 요청하세요. 노코드 툴은 DB를 잘못 설계하면 앱이 복잡해집니다.
- 커뮤니티 활용: 노코드 툴은 커뮤니티가 매우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툴 사용 중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커뮤니티나 유튜브 튜토리얼을 먼저 찾아보세요. 대부분의 문제는 이미 다른 사용자들이 해결책을 공유해 두었습니다.
마무리하며
노코드 툴은 코딩 능력의 한계를 넘어, 아이디어의 실현 속도를 결정하는 새로운 무기입니다. 여러분의 앱 아이디어 성격(복잡성 vs 단순성, 디자인 vs 속도)을 명확히 정의하고, 오늘 알려드린 Bubble과 Glide의 비교 분석을 통해 최적의 툴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이제 망설이지 말고, 여러분의 앱을 세상에 선보이세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챗GPT API와 노코드 툴을 연동하여, 내가 만든 앱에 'AI 기능'을 심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대해 주세요!
반응형'챗GPT & AI 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 & AI도구 #34. '우리만의 공간' 만들기: 챗GPT와 노코드로 커뮤니티 앱 7일 만에 완성하기 (1) 2025.10.23 챗GPT & AI도구 #33. 내가 만든 앱에 'AI 두뇌' 심기: 챗GPT API 연동 노하우 (0) 2025.10.22 챗GPT & AI도구 #31. 코딩 0줄, 개발자 없이 앱 만들기! 챗GPT가 알려주는 노코드(No-Code) 혁명의 시작 (0) 2025.10.20 챗GPT & AI도구 #30. 물류의 미래! AI가 이끄는 드론 배송부터 '초고속' 창고 관리까지 (1) 2025.10.18 챗GPT & AI도구 #29. AI가 공장장! 제조업 생산 효율 2배 높이는 AI 솔루션 (0) 2025.10.16